무안군 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안군 을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제5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무안군 지도면, 임자면, 자은면, 비금면, 도초면, 흑산면, 하의면, 장산면, 안좌면, 암태면, 압해면을 관할했으며, 제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일부 지역이 분구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무안군 갑, 을, 병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무안군 단독 선거구로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장홍염, 유옥우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안군의 정치 - 목포시·무안군·신안군
목포시·무안군·신안군은 1973년 신설되어 1988년 분리되기 전까지 민주공화당과 민주정의당 후보가 주로 당선되었으며 야당의 득표율도 높아 정치적 경쟁이 치열했던 선거구로, 선거구 획정의 공정성 문제를 야기하는 사례로 꼽힌다. - 무안군의 정치 - 무안군수 선거
무안군수 선거는 무안군수를 선출하기 위해 1995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역대 민선 군수로는 이재현, 서삼석, 김철주, 김산 등이 있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목포시·무안군·신안군
목포시·무안군·신안군은 1973년 신설되어 1988년 분리되기 전까지 민주공화당과 민주정의당 후보가 주로 당선되었으며 야당의 득표율도 높아 정치적 경쟁이 치열했던 선거구로, 선거구 획정의 공정성 문제를 야기하는 사례로 꼽힌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순천시 (2000년 선거구)
순천시 (2000년 선거구)는 2000년 제16대 총선을 앞두고 순천시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2000년 김경재, 2004년 서갑원, 2011년 김선동이 당선되었으며, 2012년 순천시·곡성군 선거구로 개편되며 폐지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무안군 을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한민국 선거구 정보 | |
이름 | 무안군 을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전라남도 |
연도 | 1948 |
폐지 | 1963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무안군 병 (1958년 분리) 무안군 |
의원수 | 1인 |
2. 역사
무안군 을 선거구는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무안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당시 무안군 지도면, 임자면, 자은면, 비금면, 도초면, 흑산면, 하의면, 장산면, 안좌면, 암태면, 압해면을 관할했다.
wikitext
제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지도면, 계자면, 압해면이 무안군 병 선거구로 분구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무안군 갑, 을, 병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무안군 단독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선거 | 정당 | 의원 | |
---|---|---|---|
1948년 | style="background-color: " | | 한국민주당 | 장홍염 |
1950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민주국민당 | |
1954년 | style="background-color: " | | 자유당 | 유옥우 |
1958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민주당 | |
1960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민주당 | |
4. 역대 선거 결과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5월 10일 실시된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의 무안군 을 선거구에서는 한국민주당 장홍염 후보가 56.3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한국민주당 김용택 후보는 25.85%, 한국민주당 김은균 후보는 17.79%를 득표했다.
4.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국민당 장홍염 후보가 당선되었다. 장홍염 후보는 9,635표(18.93%)를 얻어 무소속 김용택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김용택 후보는 8,145표(16.00%)를 얻었다. 그 외에도 김점석 후보는 7,421표(14.58%), 서광호 후보는 7,035표(13.82%), 박장극 후보는 6,294표(12.37%), 윤명룡 후보는 6,172표(12.13%), 천영 후보는 5,448표(10.70%), 손종현 후보는 725표(1.42%)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50,875표였다.4.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유옥우 후보가 44.61%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민주국민당 김영춘 후보는 32.80%를 득표하여 2위를 차지하였다. 무소속 주도윤 후보는 11.52%, 무소속 배길도 후보는 9.18%, 무소속 위복실 후보는 1.86%를 득표하였다.4. 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유옥우 후보가 50.26%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자유당 배길도 후보는 36.19%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고, 통일당 김종욱 후보는 13.54%를 득표하였다.4. 5.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유옥우 후보가 16,973표(55.66%)를 얻어 당선되었다. 사회대중당 장홍염 후보는 9,156표(30.02%)를, 무소속 박찬문 후보는 4,363표(14.30%)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0,492표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